1. 과제 분석 - 정확하게 체크하라

REP request for proposal
  - 과제
  - 타겟
  - 내용
  - 문의: 담당자에게 메일을 통해 공식적인 문의 가능
  - 시간: 30분 (Q&A 포함여부 확인)
  - 분량
  - 발표: 각 사별 개별 노트북 활용, 빔 프로젝트는 회의실 기기 공동 활용
  - 필수: 제시된 목차, 필수포함내용 및 제작물리스트  **더블, 더블, 더블 체크** (공공기관은 제시된 목차가 있는 경우가 있다)


2. 제안 배경 - 깊이 있게 체크하라
출제자의 의도
들어야 할 이유를 리마인드 해 주거나, 고민하는 부분을 긁어주며 공감하라

WHAT + HOW + WHY

제안배경, WHY에 포커싱 해보자
- 제안사의 사업 목표에 대한 이해
- 어떤 맥락에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는지 알 수 있음
- PPT 시작부분 (회사소개 제외) 1~2장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은 방법

--> 대표님 신년사, 인터뷰, 회사 PR기사 등을 통한 탐색
--> 반복되는 KEYWORDS 아이데이션의 좋은 베이스 소재 (ex. 지역상생, 아이위주)

3. 상황분석 - (1) 타겟 Pain point
가장 중요한 고객의 pain point에서 찾은 문제와 원인은 제안의 타당성을 높임

- 제시된 타겟과 관련된 문제인식 찾기 + 근거 (리포트, 신문, 논문, 설문, 전문가인터뷰 등)
- 근거자료를 찾기 어렵다면, 또는 더 보완하고자 한다면 서베이/FGI 진행하여 추가

* 문제에 대한 내용이 확실히 정해져 있을 경우
* 타겟에 대한 분석을 하면서 방향도출이 결정되는 경우
* 전략에 대한 방향제시가 RFP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 주로, 설문조사 및 트렌드 리포트에 있는 내용들을 통해 전개

4. 상황분석 - (1) 타겟 Profile/persona
기능 위주의 설명을 통한 차별화가 아니라 고객은 나에게 주는 영향 및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관점을 타겟 위두로 전환하여 생각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셔야 합니다.

편하고 가벼운 베개 -> 잘못된 자세를 막아주는 숙면 베개

4. 상황분석 - (1) 타겟 Purchase Journey
고등학생은 반경이 넓지 않음 - 그래서 인터넷 수업은 버스 광고가 많다

5. 상황분석 - (2) 시장환경: 거시적/미시적
목적지인 섬에 무사히 도착하려면 떠나기 전에 물결의 형세나 물살, 날씨 등 바다의 상황을 알아야
최선의 방법을 강구할 수 있듯이 우리도 외부 환경분석부터 내부 환경분석까지

얼마나 매력적인가?
어떤 기회가 있을까?
위협 요인은 무엇인가?
--> 전략적 시사점 도출

6. 분석파트 insight 및 concept 도출
컨셉이란 하나의 그릇이다

제품의 소구 포인트 + 분석결과 도출된 니즈

컨셉은 제품의 차별성과 필요성을 동시에 담아야 한다.
차별적인 제품을 내놓는 것은 중요하지만, 고객들의 니즈에도 부합해야 한다.

1) 브랜드/제품과 관련된 키워드 체크하기
2) 네이밍으로 활용한 만한 키워드를 선별하고 우리만의 키워드로 변형해보기
3) 키워드 간 합성/결합하기

7. 제안서를 무한 다듬기
딱 1본에 이해 할 수 있어야 한다

고객 관점대화
- 설명자료에 텍스트가 많아서 읽기 어려웠을까?
- 그 기술을 설명한 부분은 이해하기 쉬웠을까요?

고객의 이해력이 부족한가?
--> 내가 설명하는 방식이 불친절해서 고객이 이해하지 못한 게 아닐까?

우리 팀원은 왜 좋은 아이디어를 못 낼까?
--> 내 회의 진행방식이 고압적이어서 아이디어를 말하기 어려워하는 걸까?

So what? 그래서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 - 정보/분석 결과로부터 말하려는 핵심에센스를 추출하는 작업
Why so? 그렇게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자신의 주장이나 결론이 타당한 근거를 통해 검증하는 작업

연역적 추온 (분해)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근거로 해서 새로운 판단을 유도해 내는 방법
귀납적 추론 (그룹핑) 개별적인 여러 가지 사례들을 통해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