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콘텐츠 형태에 따른 분류
(1) 영상 - 유튜브(긴 영상), 틱톡(1분이내 짧은 영상)
(2) 영상+이미지 - 페이스북(1:1사이즈의 영상과 이미지가 많은 편), 인스타그램(9:16의 영상과 이미지가 많은 편)
(3) 이미지+텍스트 - 네이버포스트, 네이버블로그
(4) 텍스트 - 브런치, 트위터
2. 콘텐츠 소비형태에 따른 분류
(1) 팔로워 - 페이스북, 카카오플친, 트위터, 틱톡
(2) 구독자+검색어 - 유튜브, 인스타그램, 브런치(검색- 다음, 구글)
(3) 검색어 (SEO최적화가 중요한 채널) - 네이버포스트, 네이버블로그
3. 콘텐츠 목적성에 따른 분류
(1) 인지도상승 - 페이스북, 카카오플친, 트위터, 틱톡
(2) 브랜딩 - 유튜브, 인스타그램, 브런치 (브랜드 로고에 대한 스토리, 등)
(3) 소비유도 - 네이버포스트, 네이버블로그 (후기컨텐츠, 등)
4. 콘텐츠 유통방법
(1) 채널 맞춤형
- 각 채널에 각각 다른 콘텐츠 업로드
- 각 채널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어, 가장 이상적인 방법
(2) 미러링
- 메인 채널을 정해놓고, 그 채널에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베리에이샨하여 다른 채널로 업로드
- 메인 채널 외에는 큰 반응을 얻기 어려움
- 리소스가 비교적 적게 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업이 선호하는 방식
(2)
'새로운 배움 > Digital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마케팅 완주반] 트리플 미디어의 이해 (0) | 2022.07.04 |
---|---|
[디지털 마케팅 완주반] 콘텐츠 기획 - 디지털 콘텐츠 정의 (0) | 2022.07.04 |
[디지털 마케팅 완주반] AARRR퍼널 (0) | 2022.07.02 |
[디지털 마케팅 완주반] Growth Marketing 의 기본 이해 (0) | 2022.06.25 |
[디지털 마케팅 완주반] 마케팅 트렌드 공부위한 팁 (0) | 2022.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