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대방을 사로잡는 대화의 기술 (박신애)
배우려는 자는 들어야 한다. 자기 이야기만 하면서 배울 수 있는 건 없다
-베른트피셰츠리더 (폭스바겐 최고경영자)-
대화 - 말을 잘하는 사람이 잘하는 것이 아님.
(1) 서로 할 말들을 하고
(2) 감정의 교류가 있으면서도
(3) "마음이 상하지 않아야 한다".
즉, 마음이 통해야 하는 것. 진정한 대화는 나와 너의 입장이 만나 또 다른 나를 만드는 것.
상대의 마음을 잘 헤아리고 내 감정도 이해받을 수 있는 대화.
제1장 '나는 옳다'는 생각에서 벗어나기
1. 너와 나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자
-> 내가 옳다는 걸 인정받기 위해 대화를 이어가다 보면 자신의 말이 무시당하고 자신만 부당한 대접을 받았다는 생각에 부아가 치밀기 시작한다... 그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 상대방은 바로 당신이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 각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가 서로 다르다. 서로 다른 것에 관심을 갖고 있고 서로 다른 정보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사실은 인식하지 못한 채 대화 -> 문제
2. 상대를 먼저 진심으로 이해하라
-> 내 의견과 다른 상대방의 의견이 어떻게 형성된 것인지 호기심을 갖고 알아보자
-> 누군가를 고치려고 하는 것 X -> 알코올중독인 친구 : 그의 이야기를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앞으로 나아질 수 있는 방법을 찾고 계속 옆에 있어주겠다고 말해야 도움이 되는 것이다.
-> <'그리고' 대화법> 어느 하나의 이야기를 선택하려고 하지 말고 둘 다 수용하라. "맞습니다, 맞고요."(노무현 전 대통령) 화법. 먼저 상대방의 의견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후 자신의 의견을 피력.
상대방을 이해한다고 해서 내 주장이 약화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제대로 듣지 않고 자기 말만 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제대로 들어야 상대를 이해 할 수 있다. 그것이 최고의 대화기술이다.
3. 제대로 들어야 제대로 말할 수 있다
-> KIWI 원칙
(1) 자제한다 Kontrolliert Control
-> 상대방이 말을 끝낼 때까지 기다리기 + 친절한 사람들은 발언권을 넘겨받았어도 몇 초 정도 기다린다.
(2) 흥미를 보인다 Interessiert Interest
-> 상대방에게 관심을 기울인다.
(3) 인정해준다 Wertschatzend
-> 경청 + 애정 갖고 듣는다
상대방을 향해 몸을 약간 기울이고 "아하!" "정말?" "좋겠다!" 등과 같은 반응으로 상대방을 격려한다.
조심스럽게 상대방의 감정을 반영한다.
(4) 영감을 불러일으킨다 Inspirierend Inspire
-> 상대방의 메아리가 되어준다.
멋진 조언을 하거나,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가능한 한 자제. -> 상대방이 자신을 발전 시킬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찾아 낼 수 있음.
-> 무엇 때문에 그런 말(부정적인 말)이 나오게 됐는지에 집중. "왜 논리적이고 이성적이고 예의바른 사람들이 이른 말을 하는 것인가" 생각하며 불만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상대방으로부터 뭔가 할 말이 있다는 신호를 받았다면 그 말을 하도록 만들어야. -> 감정 풀어주지 않으면 나중에 큰 문제로 발전한다. -> 들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대화를 시도해야.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상대방에게 진심으로 배우려는 자세로 배우는 것이다.
(상대방이 입 다물고 아무 말도 안하거나, 언성을 높이거나)
제2장 감정은 소중하다
1. 자신의 감정을 무시하지 마라
"평소 힘들었던 점이 있는데, 말씀드려도 될까요? 전 어머니와 정말 잘 지내고 싶어요. 평소 절 아껴주시는 것도 잘 알고 고맙게 생각하는데요, 제 감정을 말씀드리지 않으면 진심으로 어머니를 사랑할 수 없을 것 같아요. 정말 용기를 내서 말씀드리는 거니까 어머니도 존중해주셨으면 해요. 말씀드려도 될까요?"
잘 들으려면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열린 마음이 필요. 자신을 잘 표현하지 않으면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이기 힘들다.
'저 사람은 왜 저렇게 생각할까?'하며 듣기 보다는 '저 사람은 나를 조금도 배려하지 않아'라고 생각만 반복하게 됨(YM...) 중요한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고 억눌러야 한다는 생각은 스스로 자존감에 상처를 준다. + 인간관계에 손상 입힘
2. 내 감정의 원인은 나에게 있다
3. 상대의 감정도 소중하다
제3장 독설가들과 세상 살기
1. 나에게도 책임이 있다
2. 정면으로 돌파하라
제4장 거절을 잘 해야 인생이 편안하다
1. 상황에 따라 부드럽게 거절하라
2. 길게 변명하지 마라
3. 가족에게도 거절할 수 있어야 한다
4. 전문가라 해서 주눅 들 필요는 없다
5. 거절하기 어려우면 시간을 벌어라